Product
개요영상그래픽문서
Enterprise
Story
레터/테크 노트소식/공지
Pricing
Ko
한국어English日本語日本語
이용 가이드
레터웍스 시작 
한국어English日本語
한국어English日本語
콘텐츠 현지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2024-10-16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7,151개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 중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 수 기준으로) 약 8,200만명으로 20위에 해당하죠.* 다만 20위라고 하더라도 전 세계 인구 중 약 1% 정도로, 만약 지구가 100명의 마을이라면 99명은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겁니다.

‍

이런 통계를 보다 보니 우리는 한국어라는 우물 안 개구리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로벌 시대라고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 1%의 언어인 한국어만 바라보고 있으니까요. 사실은 한국어 넘어 세상에 99%의 새로운 지식, 정보, 시장, 그리고 기회가 존재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

‍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

Top 10 most spoken languages (2022)
Top 10 most spoken languages 2022
(Source: Ethnologue)

‍

(이미 예상하고 있겠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영어입니다. 약 13억 5천만명의 인구가 영어를 사용하고 있죠. 그 다음으로 중국어, 힌디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 순으로 많은 사람들이 해당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

즉 전 세계인의 99%는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마치 우리가 한국어 넘어 99%의 세계를 놓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죠. 아무리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다고 하지만, 현지화(번역)되지 않은 콘텐츠는 언어의 장벽에 가로막혀 단 1%의 시장에 머무를 수 밖에 없습니다.

‍

‍

언어의 장벽 너머 새로운 시장과 기회

‍

그렇다면 아직 현지화를 못한 K-콘텐츠를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는 다른 언어로 번역해보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우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영어(English)로 번역하면 13억 5천만 명,

모국어 사용자 기준 1위인 중국어(Mandarin chinese)로 번역하면 11억 2천만 명,

인도의 공식 언어로 인도와 네팔에서 쓰는 힌디어(Hindi)어로 번역하면 6억만 명,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의 공용어인 스페인어(Spanish)로 번역하면 5억 4천만 명,

중동과 프랑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아랍어(StandardArabic)로 번역하면 2억 7천만 명,

인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언어인 벵골어(Bengali)로 번역하면 2억 7천만 명,

프랑스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사용하는 프랑스어(French)로 번역하면 2억 7천만 명,

러시아와 그 주변 국가에서도 사용하는 러시아어(Russian)로 번역하면 2억 6천만 명,

포르투갈은 물론 브라질의 공영어인 포르투갈어(Portuguese)로 번역하면 2억 6천만 명,

파키스탄은 물론 인도의 22개 공용어 중 하나인 우르두어(Urdu)로 번역하면 2억 3천만 명, …‍

‍

이렇게 훨씬 더 많은 사람들과 우리의 자랑스러운 K-콘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아니면 적어도 그런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죠. 실제로 10위권 이내 언어만 갖고 계산해봐도 아직 약 52억에 이르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의 콘텐츠를 전 할 귀중한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겁니다.

‍

하지만 안타까운 점은 아직도 생각보다 많은 K-콘텐츠 기업들이 이 기회와 시장을 놓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

‍

지금은 K-콘텐츠의 글로벌 전성시대

‍

다행스러운 점은 아직은 늦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K-콘텐츠의 글로벌 전성시대이니까요. 대한민국 컨텐츠 산업 규모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고, 콘텐츠 수출액은 매년 거침없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동향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동향
(Source: Asiatoday)

‍

또한 이미 유수의 K-콘텐츠 기업들이 적극적인 현지화를 통해 글로벌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 성과가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 K-팝 아티스트, 오징어게임, D.P 등 넷플릭스 시리즈, 배틀그라운드 같은 게임 등 다양한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으로 나타난 바 있고요. 더구나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뜨겁고,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

새로운 비지니스 성장의 기회를 잡아라‍

‍

글로벌 시장에서 반응을 얻는데 있어 콘텐츠 현지화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리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유례없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지만, 현지화되지 않은 외국어 콘텐츠를 그대로 즐길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은 거의 없으니까요.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아직 국내 시장에만 머무르고 있거나 글로벌 진출에 소극적인 콘텐츠 기업이라면 좋은 기회와 가능성을 놓치고 있는 중인 겁니다.

‍

반면 최근 시장에서는 다양한 콘텐츠의 공급 및 수요가 모두 크게 늘면서 더 쉽고, 빠르고, 합리적인 가격의 현지화 솔루션에 대한 니즈가 커졌습니다. 이에 우리는 AI 기술과 자동화 솔루션을 이용해 대규모 콘텐츠를 더 빨리, 더 많이, 더 좋게 현지화할 수 있는 대규모 번역 서비스를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글로벌 진출과 현지화에 고민이 있는 K-콘텐츠 기업들이 새로운 비지니스 성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힘이 되겠으니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지금 바로 문의해주세요.

‍

‍

‍

* https://www.ethnologue.com/guides/how-many-languages

** https://vietnamlife.co.kr/2021/09/01/33644/

‍

‍

*해당 콘텐츠는 지콘스튜디오에서 레터웍스로 이관되었습니다.

‍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레터웍스' 지금 바로 경험해보세요.

• 노트의 내용을 실제로 이용해 보세요! (한 달 무료 이용 가능 🎉)
• AI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한가요? (POC 샘플 신청하기 💌)

‍

‍

‍

‍

전체 목록 보기

다음 노트 살펴보기

WORKS note
월간 인공지능 4호 멀티모달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프로젝트(1편)
2025-07-21
WORKS note
월간 인공지능 3호 거대언어모델(LLM), 영상 번역에 활용하기(3편)
2025-06-27
WORKS note
월간 인공지능 3호 거대언어모델(LLM), 영상 번역에 활용하기(2편)
2025-06-25
이용 가이드
문의하기
(주) 트위그팜
사업자등록번호 : 556-81-00254  |  통신판매번호 : 2021-서울종로-1929
대표 : 백선호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현택
서울 본사 : (03187) 서울 종로구 6(서린동) 6층
광주 지사 : (61472)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193-22
싱가폴 아시아 지사 : (048581) 16 RAFFLES QUAY #33-07 HONG LEONG BUILDING SINGAPORE
Family site
TwigfarmLETR LABSheybunny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2024 LETR WORKS. All rights reserved.